LG유플러스, 경기도사회적경제원과 '이동형 놀이터' 개발 > 제보/기업

본문 바로가기

제보/기업

LG유플러스, 경기도사회적경제원과 '이동형 놀이터' 개발

2025-09-03 10:53

본문


8b9c34c2209a1a052ed8877f4c5e06e3_1756864396_9181.jpg
 

LG유플러스(www.lguplus.com)는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어린이날다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재난현장 어린이를 위한 '찾아가는 이동형 놀이터'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동형 놀이터는 기존 재난구호 활동이 심리상담 등 정적 지원에 치중했던 한계를 보완하고,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 제31조에 명시된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기획됐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재난 상황 속 아동의 놀 권리가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있지만, 놀이가 아동의 트라우마 등 정서적 고통을 회복하고 일상 복귀를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권리 보장을 권고하고 있다.


이동형 놀이터는 전국 재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조립·해체·운송이 쉬운 모듈형 구조로 제작됐다.


주요 놀이 도구는 인디언 천막(티피, tepee), 회전그네, 한글 가베교구 등이다.


인디언 천막은 아카시아 나무로 만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어린이와 성인 자원봉사자가 함께 조립하는 방식이다.


성인 2명과 아동 4명이 힘을 합치면 약 2시간 내에 완성할 수 있다.


천막은 약 2.5m 높이로 총 4개가 1세트를 이루며, 사다리·미끄럼틀·밧줄 등을 함께 설치해 아이들이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구성됐다.


회전그네는 폐목재를 활용해 중심 기둥(약 4.5m 높이)을 세우고, 좌석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아동들은 기둥에 고정된 밧줄을 잡고 좌우로 번갈아 회전하는 그네를 타게 된다.


최대 4명이 동시에 탑승할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해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한글 가베교구는 한글 자모음을 소재로 한 나무 블록 형태의 장난감이다.


퍼즐처럼 끼워 맞추거나 블록을 쌓아 올리는 등 창의적인 놀이가 가능하다.


세 기관은 지난 8월 30∼31일 경기 안산시 경기창작캠퍼스 선감아트홀에서 지역 어린이 30여 명과 함께 이동형 놀이터 체험 행사를 진행했다.


오는 9월 26∼28일에는 고양호수예술축제에서 시범 운영해 현장 투입 가능성을 추가 검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LG유플러스의 재난구호 현장에 '이동형 놀이터' 프로그램을 정식 도입할 계획이다.


주이규 경기도사회적경제원장 직무대행은 "사회적경제조직과 기업이 힘을 모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 모델이 현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조직의 신사업 발굴을 적극 지원해 상생 협력의 모범사례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명섭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재난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LG유플러스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을 이어가며 밝은 세상을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이동형 놀이터 외에도 재난 현장 구호를 위해 '휴대폰 배터리 충전 전용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배터리 충전차는 최대 68대의 휴대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며, 모바일 라우터를 장착해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LG유플러스는 재난 상황 속 사각지대에 놓인 반려동물 구호를 위해 국내 최초로 동물 특화 구호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