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의 역사 시흥행궁, 복원을 위한 첫걸음
본문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22일 오후 2시부터 청사 12층 대강당에서 시흥행궁 관련 학술대회를 연다고 밝혔다.
시흥행궁은 정조대왕이 1795년(을묘년)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이해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참배하기 위해 진행한 '정조대왕 능행차 행렬'이 8일간의 여정 중 하루를 머무른 곳이다. 현재는 멸실된 상태다. 구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멸실된 시흥행궁을 재조명하며 복원을 추진하고자 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김상태 전통건축학과 교수가 사회와 좌장을 맡는다. 시흥행궁에 대한 고찰을 나누고 함께 토론하며 관계자와 참석 주민들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우선 김관수 (사)화성연구회 부이사장이 '금천 시흥행궁 복원을 위한 위치와 배치에 대해'란 주제로 발제한다.
이후 ▲오세덕 신경주대학교대학원 문화재학과 교수 ▲한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강선혜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수리진흥부장 ▲김태식 국토문화유산연구원 전문위원 등 각계각층의 전문가가 토론자로 나서서 의견을 나눈다.
구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2026년 타당성 용역을 진행하며 향후 시흥행궁 복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구는 2022년부터 시흥행궁의 역사적 의미를 기념하는 공간으로 시흥행궁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시흥행궁이 금천의 중요한 역사문화 자산인 만큼 시흥행궁 복원까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옛 문헌에 따르면 시흥행궁의 규모는 114칸이 될 정도로 컸다. 일정 기간 존속됐으나 철종 때 소실됐다는 내용이 있고 지금은 터조차 남아있지 않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정조대왕은 능행차를 통해 백성과 소통하며 백성의 삶을 살피는 애민 정신을 드러냈다"라며 "능행차 중 머물렀던 시흥행궁을 복원해 현대판 풀뿌리 민주주의 정신으로 계승해나가겠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시흥행궁과 같이 금천구의 중요한 역사 문화 자산을 주민과 함께 공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라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금천구청 문화체육과(02-2627-1452)로 문의하면 된다.